맨위로가기

마나베 슈쿠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나베 슈쿠로는 컴퓨터를 활용한 기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예측하고 연구한 일본계 미국인 기상학자이다. 대기 대순환 모델 및 대기-해양 결합 모델을 구축하고, 에너지 보존 법칙에 기반한 1차원 방사-대류 평형 모델을 개발하여 화석 연료 소비로 인한 이산화탄소 증가가 지구 기온 상승을 유발할 수 있음을 밝혔다. 1980년대에 예측한 가뭄과 홍수 증가가 현실화됨을 지적하며, 지구 온난화 예측에 기여한 공로로 202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또한 일본 사회의 경직성을 비판하며 미국 국적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했고, 과학 연구에 있어 진정한 호기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기상학자 - 후지와라 사쿠헤이
    후지와라 사쿠헤이는 일본의 기상학자이자 글라이더 연구가로서, 소용돌이, 구름, 기상 광학 등 다양한 기상 현상 연구와 기상 용어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으며, 일본 활공기 연구의 선구자이자 기상학 대중화에 힘쓴 인물이다.
  • 일본의 기상학자 - 와다 유지
    와다 유지는 한국과 일본의 과학 연구에 기여한 일본의 과학자로, 대한제국 관측소 기사로 활동하며 측우기와 첨성대를 연구하고, 조선총독부 관측소 기사로 활동하며 조선의 과학 관련 연구를 수행했으며, 일본 근해 해류를 조사하여 오야시오 해류와 쿠로시오 해류의 상태를 밝히기도 했다.
  • 미국의 기상학자 - 어빙 랭뮤어
    어빙 랭뮤어는 백열전구, 플라스마, 표면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1932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 물리학자, 공학자이다.
  • 미국의 기상학자 -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는 나비 효과를 제시하고 로렌츠 끌개를 발견하여 기상 예측의 한계를 밝힌 미국의 기상학자이자 수학자이며, MIT 교수로서 대기과학 연구에 기여하고 칼-구스타프 로스비 연구 메달, 크라포드상, 교토상 등을 수상했다.
  • 일본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난부 요이치로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며, 양자색역학, 끈 이론, 자발 대칭 깨짐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일본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쇼 코스기
    쇼 코스기는 1980년대 닌자 영화 시리즈로 미국에서 닌자 붐을 일으킨 일본계 미국인 배우이자 무술가이며, 가라테 등 다양한 무술에 능통하고 쇼 코스기 연구소를 설립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다.
마나베 슈쿠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8년 촬영
2018년 촬영
이름마나베 슈쿠로
태어난 날1931년 9월 21일
태어난 곳일본 에히메현 우마군 신리쓰촌(지금의 시코쿠추오시 신구촌)
국적미국
학력 및 경력
분야기상학
소속프린스턴 대학교
출신 대학도쿄 대학
수상
수상벤저민 프랭클린 메달(2015년)
크라포르드상(2018년)
노벨 물리학상(2021년)

2. 주요 연구 업적

마나베 슈쿠로는 컴퓨터를 사용한 3차원 대기 대순환 모델 및 대기-해양 결합 모델을 구축하고 기후 시뮬레이션을 연구했다.

1989년 북반구와 남반구의 온난화 진행 차이를 지적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최근에는 가뭄이나 홍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80년대에 우리의 (계산) 모델에서 보여준 것과 같은 것으로, 지금에 와서 생각하면 모델이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당시에는 모델의 결과에 대해 의문을 품는 사람도 있었다. 이제는 그것이 의심의 여지가 없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구 온난화를 예측하는 데 선구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202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 이유로 꼽힌다.

2. 1. 1차원 방사-대류 평형 모델

에너지 보존 법칙에 근거해 대기의 각 층의 기온이 변화할 수 있다. 인간의 활동, 특히 화석연료의 소비에 의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것이 세계 평균 지상 기온의 상승을 가져올 것임을 시사했다.

2. 2. 3차원 대기 대순환 모델 및 대기-해양 결합 모델

컴퓨터를 사용한 3차원 대기 대순환 모델 및 대기-해양 결합 모델을 구축하고 그에 따른 기후 시뮬레이션을 연구했다.

에너지 보존 법칙에 근거해 대기의 각 층의 기온이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인간의 활동, 특히 화석연료 소비에 의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것이 세계 평균 지상 기온 상승을 가져올 것임을 시사했다.

1989년 북반구와 남반구의 온난화 진행 차이를 지적했다.

> 최근에는 가뭄이나 홍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80년대에 우리의 (계산) 모델에서 보여준 것과 같은 것으로, 지금에 와서 생각하면 모델이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당시에는 모델의 결과에 대해, 의문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다. 이제는 그것이 의심의 여지가 없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구온난화를 예측하는 데 선구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202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 이유로 꼽힌다.

2. 3. 지구 온난화 예측 및 기후 변화 연구

컴퓨터를 사용한 3차원 대기 대순환 모델 및 대기-해양 결합 모델을 구축하고 그에 따른 기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다.

에너지 보존 법칙에 근거해 대기의 각 층의 기온이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인간의 활동, 특히 화석연료 소비에 의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것이 세계 평균 지상 기온 상승을 가져올 것임을 시사했다.

1989년 북반구와 남반구의 온난화 진행 차이를 지적했다.[4]

최근에는 가뭄이나 홍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80년대에 우리의 (계산) 모델에서 보여준 것과 같은 것으로, 지금에 와서 생각하면 모델이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당시에는 모델의 결과에 대해 의문을 품는 사람도 있었다. 이제는 그것이 의심의 여지가 없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구 온난화를 예측하는 데 선구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202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 이유로 꼽힌다.[4]

3. 미국 국적 취득과 관련된 논란

마나베 슈쿠로는 1975년 미국으로 귀화하면서 일본 국적을 포기했다.[1] 이는 일본 사회의 동조 압력과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미국 사회의 분위기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일본 사회의 경직성과 개인이 자유롭게 행동하기 어려운 분위기를 비판했다.[1]

3. 1. 일본 사회 비판

真鍋 淑郎|마나베 슈쿠로일본어는 일본 사회의 경직성과 개인이 자유롭게 행동하기 어려운 분위기를 비판하며, 미국에서는 다른 사람의 기분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1] 그는 주변과 협조하며 살 수 없다는 점을 일본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은 이유 중 하나로 꼽았는데,[1] 이는 마나베 슈쿠로가 미국 국적을 선택한 배경으로도 작용했다.

4. 한국에 대한 조언

마나베 슈쿠로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조언하면서, 한국 사회에 대해서도 언급했다.[1]

4. 1. 과학적 호기심 강조

마나베 슈쿠로는 과학 연구에 있어서 진정한 호기심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1]

5. 수상 경력 및 명예

마나베 슈쿠로는 일본 기상학회의 후지와라상(1966년), 미국 기상 학회의 Clarence Leroy Meisinger상(1967년)과 칼-구스타프 로스비 연구상(1991년), 미국 상무부 황금 메달(1970년), 제1회 블루플래닛상(1992년), 미국 지구물리학회의 Roger Revelle Medal(1993년)과 윌리엄 보위 메달(2010년), 아사히상(1995년), 볼보 환경상(1997년),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2015년), BBVA Foundation Frontiers of Knowledge Award(2016년), 크라포르드상(2018년) 등을 수상하였다.[4] 2021년에는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007년에는 맥길 대학교에서 명예 과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

5. 1. 노벨 물리학상 (2021)

마나베 슈쿠로는 컴퓨터를 사용한 3차원 대기 대순환 모델 및 대기-해양 결합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기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다. 또한, 1차원의 방사-대류 평형 모델을 개발했다.

에너지 보존 법칙에 근거해 대기의 각 층의 기온 변화를 계산할 수 있다는 점을 보였다.

인간의 활동, 특히 화석 연료 소비로 인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것이 세계 평균 지상 기온 상승을 가져올 것임을 예측했다.

1989년 북반구와 남반구 간 온난화 진행 속도 차이를 지적했다. 마나베 슈쿠로는 "최근 가뭄이나 홍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1980년대에 우리의 (계산) 모델에서 보여준 것과 같다. 당시에는 모델 결과에 의문을 품는 사람도 있었지만, 이제는 의심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 되었다"고 말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구 온난화를 예측하는 데 선구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202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 이유로 꼽힌다.

5. 2. 기타 수상 경력

연도수상
1966년후지와라상[3]
1967년Clarence Leroy Meisinger상
1970년미국 상무부 황금 메달
1991년칼-구스타프 로스비 연구상
1992년제1회 블루플래닛상
1993년Roger Revelle Medal
1995년아사히상
1997년볼보 환경상
2010년윌리엄 보위 메달
2015년벤저민 프랭클린 메달
2016년BBVA Foundation Frontiers of Knowledge Award
2018년크라포르드상[4]
2021년노벨 물리학상


5. 3. 명예 박사 학위


  • Honorary Doctor of Science|아너러리 닥터 오브 사이언스영어 맥길 대학교 (2007년)[1]

6. 저서 및 논문

연도저널명제목
1965Monthly Weather ReviewSimulated climatology of a general circulation model with a hydrologic cycle|수문 순환을 포함한 대순환 모델의 시뮬레이션 기후학영어
1967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Thermal equilibrium of the atmosphere with a given distribution of relative humidity|주어진 상대 습도 분포를 가진 대기의 열 평형영어
1969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Climate Calculation with a combined ocean-atmosphere model|결합된 해양-대기 모델을 사용한 기후 계산영어
1975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The effect of doubling of CO2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대기 중 CO2 농도 2배 증가의 영향영어
1989NatureInterhemispheric Asymmetry in climate response to a gradual increase of atmospheric carbon dioxide|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점진적인 증가에 대한 기후 반응의 반구 간 비대칭영어
1991Journal of ClimateTransient response of coupled ocean-atmosphere model to gradual changes of atmospheric CO2. Part I: Annual mean response|대기 중 CO2의 점진적인 변화에 대한 결합된 해양-대기 모델의 과도 응답. 1부: 연평균 응답영어
1992Journal of ClimateTransient response of a coupled ocean-atmosphere model to gradual increase of atmospheric CO2. Part II: Seasonal response|대기 중 CO2의 점진적인 증가에 대한 결합된 해양-대기 모델의 과도 응답. 2부: 계절별 응답영어
1995NatureSimulation of abrupt climate change induced by freshwater input to the North Atlantic Ocean|북대서양으로의 담수 유입으로 인한 급격한 기후 변화 시뮬레이션영어
2000Quaternary Science ReviewsStudy of abrupt climate Change by a coupled ocean-atmosphere model|결합된 해양-대기 모델에 의한 급격한 기후 변화 연구영어
2020Beyond Global Warming: How Numerical Models Revealed the Secrets of Climate Change|지구 온난화를 넘어서: 수치 모델이 밝혀낸 기후 변화의 비밀영어 (Princeton University Press)


참조

[1] 웹인용 All Nobel Prizes in Physics https://www.nobelpri[...] 2021-10-05
[2] 웹인용 2021年ノーベル物理学賞、真鍋氏ら3氏に 写真3枚 国際ニュース:AFPBB News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21-10-05
[3] 웹인용 藤原賞 歴代受賞者一覧 https://www.metsoc.j[...] 공익 사단법인 일본 기상학회 2021-10-01
[4] 기타 Crafoord Prize - Two legendary climate researchers receive this year’s Crafoord Prize http://www.crafoord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